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 투자자가 가장 많이 보유한 코인 리플(XRP)

by 알뜰한마을 2024. 2. 27.
반응형

리플이란?

-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와 디지털 통화인 XRP를 개발한 기업으로,  초기 창업자는 크리스 라슨, 제드 맥케일럽(스텔라루멘 창시자), 아서 브리튼 하우스가 설립한 회사입니다.

XRP란?

-XRP는 리플이 개발한 디지털 통화로, 리플의 글로벌 결제 네트워크인 리플넷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이자 디지털 자산입니다.

XRP

총 발행량 : 1,000억 개

시가 유통량 : 약 390억 개

( 550억개는 에스크로 계좌에 예치되어 비즈니스 고객을 상대로 매달 10억 개씩 판매 혹은 대여)


리플은 언제 설립되었는가?

- 리플은 2012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초기에 OpenCoin Inc.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으며, 2015년에 리플 라벨로 재브랜딩되었습니다. 일각에서는 리플은 2004년도 부터 시작되어졌다고 알려지기도 하는데, 과거 2004년도에 '라이언푸거(Ryan Fugger)'라는 사람이 해외송금 시스템의 여러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전세계 대상으로 송금 서비스가 가능한 리플페이를 만든 적 있기때문입니다. '라이언푸거(Ryan Fugger)'는 이후 리플의 지휘권을 양도 '제드 맥케일럽'과 '크리스 라센'에게 양도하게 됩니다.

리플은 어떤 기술을 가졌는가?

 리플은 국경간 송금 시스템의 혁신을 위해 기존의 국경간 송금시스템인 '스위프트'의 단점을 해결할 솔루션을 제시했습니다. 스위프트의 국경 간 송금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수료 문제와 송금 속도 문제들의 해결책으로서 'ODL'을 제시합니다. 또한, 보안을 높이고 중앙화되지 않은 비트코인 같은 탈중앙화 된 암호화폐가 아니라 보안력을 높이면서 국가가 발행하는 암호화폐인 CBDC 개발을 돕기도합니다.  그리고, 리플은 실물자산 토근화(Xrp Leger)를 홍콩 중앙은행과 함께 부동산의 토큰화를 개발 및 진행중에 있습니다. ODL 기술력에 대한 내용은 제 블로그 '리플(XRP)의 기술력 ODL 간단하게 알아보기(https://jh-lif2.tistory.com/51)' 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리플 솔루션 3가지

  1. xCurrent (은행간 거래용)
  2. Rapid (고객 결제용)
  3. xVia (인터페이스)

리플 대표 임원

  • 대표자(CEO) -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

파일공동작업 서비스 하이테일(Hightail)의 CEO로 재직. 2009년부터 2012년까지 AOL 소비자 애플리케이션(Consumer Applications)의 사장으로 재직. 2003년부터 2009년까지 야후에서 임원직 및 부사장을 수행.

  • 기술이사(CTO) - 데이비드 슈워츠(David Schwartz)

CNN과 NSA(National Security Agency)와 같은 조직을 위해 암호화된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엔터프라이즈 메시징 시스템을 개발

  •  

 

리플의 대표적인 협력 및 파트너사(파트너쉽)

- MoneyGram
- Santander
- American Express
- SBI Holdings
- Standard Chartered
- SEV

- MIZUHO

- SABB(사우디 주식회사)

- AKBANK(터키)

- Induslnd Bank(인도금융회사)

- YesBank(인도은행)

- MUFG Bank

- DZ Bank(독일)

- SAMA (사우디 중앙은행)

.... 외 총 40개국, 300개 이상의 금융기관.

 


연도별 정리

2012년

크리슨 라슨과 제드 맥케일럽이 블록체인 기반의 오픈코인 설립. 리플 트랜잭션 프로토콜인 RTXP를 개발. 비트코인과 유사한 암호화폐인 리플(XRP, ripple)을 발행하며, 앤드리슨 호로위츠, 판타이스 벤처스, 구글 벤처스, 라이트스피드 벤처스 등의 투자를 유치하는데 성공.

2013년 

'제드 맥케일럽'의 사임과 회사명을 오픈코인에서 리플랩스(Ripple Labs Inc.)로 변경됨. Bank of America, HSBC 등 전 세계 수십 개 은행들이 은행간 결제에 리플을 사용하기 시작함.

2014년

독일 FIDOR은행 처음으로 리플화폐 시스템 도입 및 사용.

남미국가인 브라질, 칠리, 콜롬비아, 멕시코, 페루,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7개 국가에서 리플화폐네트워크 송금서비스 시작.

글로벌 황금 유통기업 GBI 리플시스템 가입.

캐나다 CGI그룹과 협약체결, 호주연방은행 리플화페네트워크 사용.

또, 2013년에 사임한 '제드 맥케일럽'이 자신이 보유한 90억xrp를 매각하려하자 리플랩스에서 락 계약체결.

2015년

Ripple Labs에서 Ripple로 상호변경 됨.

전 백악관 경제고문이자 현 바이든 수석보좌관인 '진 스펄링'이 리플사의 이사로 취임.

전 미국 재무부 차관인 '마이클 에스바아'가 고문으로 취임.

또한, '로먼 리드도'가 법률 책임자로, 전 페이팔 최고 재무 책임가 '브렛 앨린바흐'가 최고 재무 책임자로, 야후 수석 부사장이었던 '브래드갈링 하우스(현 리플 CEO)'가 리플랩스 최고운영책임자로 취임.

5월에는 가상화폐 거래소를 대상으로 감사가 진행되면서 리플랩스는 '은행 비밀 보호법 위반혐의로 70만 달러 벌금'을 부과받기도 하였고, 12월에는 포브스가 선정한 핀테크 50기업에 선정됨.

2016년

3월 일본정부에서 가상화폐를 결제수단으로 이용 가능하도록한 법 개정안 제정.

일본 최대 은행인 MUFG를 비롯한 약 80% 이상의 일본 은행들이 리플 사용에 합류.

일본의 금융기업인 SBI의 그룹 'SBI 그룹'이 리플 아시아 합작회사(SBI Ripple Asia Co., Ltd)를 설립.

리플사의 출자 발생주식 17%를 취득하며, 아시아 지역을 무대로 확장을 목표로 설립하게됩니다.

R3 CEV 프로젝트를 통해서 SBI그룹과 미즈호 파이낸셜 그룹이 리플 테스트 진행.

MIT(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는 리플을 블록체인 연구로 채용.

전 스위프트 이사였던 '마커스 트레쳐'와 골드만 삭스 전 이사인 '캐머런 킨로치'가 리플에 합류.

(안타깝게도 SEC 소송이 제기되면서 '마커스 트레쳐'는 리플을 떠남)

2017년

크리스 라센이 리플사의 회장으로 취임.

크리스 라센은 HSBC 기술자문으로 선정.

XRP대출 서비스를 공개.

크리스 라센 IMF 고문 취임.

2017년 리플은 인도시장 진출.

중국 중앙은행 대표단이 리플사를 방문, 이후 중국은 ICO금지 및 가상화폐 금지를 선포.

2018년

리플의 지속적인 확장으로 PNC, Banco Santander, American Express, SBI Holdings 등 많은 기업들이 리플넷에 가입.

그리고 이스라엘 금융 서비스 기업 GMT와 제휴발표.

어포스트 인수전에 참가하기도 합니다. 

2018년에는 이더리움을 제치고 암호화폐 시가총액 순위 2위를 차지.

전 페이스북 및 구글 이사인 '이단 버드'가 리플사에 취임.

2019년

리플 넷에 가입한 금융기관의 숫자가 200을 넘으면서 5년연속 포브스 핀테크 50기업에 선정.

리플넷을 참고한 금융기관의 자체적 생태계 구축 및 블록체인 개발의 움직임이 보이기 시작.

2020년

리플은 IPO를 진행하려 했으나, 본격적인 SEC의 소송이 제기되면서 무산됩니다. 이에 '브래드 갈링하우스'는 새로운 도약을 위해 노력하는 기업을 다른기관도 아닌 자국의 기관이 방해한다고 비판하기도 합니다. 실제 이후 소송내용으로는 불합리한 소송제기와 전 SEC위원장의 현황 및 현 SEC위원장의 모순적인 모습들로 복잡한 문제(정치,기업,자본가 등)로 보여집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