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조금 및 대출

교통비 환급 216,000원 받는 방법 _ K-pass

by 알뜰한마을 2023. 9. 4.
반응형

최근 국토 교통부 '대도시권 광역시 위원회'에서 새로운 대중교통 제도 'K-패스'를 도입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에 도입될 제도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사용금액의 일부를 적립하여 환급받을 수 있는 제도로서 평상시 출근이나 등교할 때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분들은 큰 혜택을 볼 수 있는 제도입니다. 기존의 알뜰교통카드와 같은 취지로 서민들에게 교통비 지원을 하기위한 제도이며, 알뜰교통카드 제도는 실효성과 운영적인 면에서 비경제적이라는 판단에 의거하여 알뜰교통카드 제도가 폐지가 되면서 새롭게 나오게 된 제도입니다. 요즘같이 어려운 시기에 여러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금부터  'K-패스'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K-패스란?

최근 들어 물가인상으로 버스와 지하철 등 대중교통요금 또한 전국적으로 인상이되면서 서민들의 부담이 증대되었습니다. 이에 정부에서는 국민들의 교통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서 월 21회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국민에게 최대 월 60회까지 탑승하면서 지불한 교통비의 적게는 20%에서 많게는 50%까지 환급을 해주는 제도입니다. 쉽게말해서 지하철,버스같은 대중교통 통합 이용권입니다. 정부는  'K-패스' 제도를 내년 7월부터 도입하기 위해 예산을 집행한다고 밝혔고 내년7월부터는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보여집니. 위 제도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국민들은 연간 최대 환급액 21만6000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청년이나 저소득층의 경우에는 환급받을수 있는 금액이 더 증가합니다. 청년층은 최대 연간 32만4000원 , 저소득층이라면 최대 연간 57만6000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K-패스 환급금액 정리

기본적으로 최대 216,000원까지 환급받을 수 있으며, 사용금액의 20%를 적립받습니다. 알뜰교통카드의 경우에는 자전거나 걷기등의 별도의 행동이 필요하여 번거로움이 있어서 시민들의 실질적인 사용율은 저조했습니다. 하지만 이번 제도는 다른 행동과는 무관하게 기존에 대중교통 이용하듯 사용만 하면 환급받을 수 있는만큼 국민이라면 누구나 손쉽게 참여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적립율과 최대 환급가능한 금액은 눈으로 보기쉽도록 아래에 표로 정리해두었습니다.

 적립율최대 환급금필요 이동거리
일반20%216,000원무관
청년30%324,000원무관
저소득층53.3%576,000무관

사용방법은?

위 제도의 가장 큰 장점은, 별도의 준비나 신청을 하지않아도 평소처럼 신용카드 및 교통카드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자동으로 적립이 된다는것입니다. 따라서 번거롭지 않게 평소처럼 대중교통을 이용하면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